본 자료는 경기도교육청에서 출제하였으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02년 11월 20일 (수)에 시행되었습니다.
언어영역(국어)
시행 : 2002.11.20(수)
대상 : 고등학교 2학년
출제 : 경기도교육청
표, 밑줄 등은 원본과 다를 수 있습니다.
원본 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원본 파일은 https://korea-test.tistory.com/에 있습니다.
① 우리 집 개는 무척 영리해서 도둑을 잘 지킨다.
② 그의 머릿속에는 뇌리를 스치는 생각이 있었다.
③ 할아버지는 나이를 많이 잡수셔서 귀가 어두우시다.
④ 축구를 좋아하는 작은형의 친구들이 우리 집에 모였다.
⑤ 철수는 학교 대표 농구 선수치고 슛 성공률이 매우 높다.
① 박사는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여 시청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② 사회자는 질문을 제기하는 형식을 통해 박사의 상세한 설명을 이끌어 내고 있다.
③ 박사는 설명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신의 의견을 남의 의견인 것처럼 말하고 있다.
④ 사회자는 시청자들이 품을 만한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시청자의 궁금증을 해소해 주려 하고 있다.
⑤ 사회자와 박사는 우리와 친근한 디지털 기기의 부정적인 측면을 부각시켜 시청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있다.
① ‘전체 관람가’나 ‘12세 이상’ 등급 위주로 상영한다.
② 특정 국가와 종교를 비하하거나 모독하는 영화는 피한다.
③ 비행기 여행의 특성상 승객들이 가벼운 마음으로 즐길 수 있는 오락 영화를 상영한다.
④ 비행기의 안전한 운항을 위하여 2시간이 넘는 영화의 상영은 자제한다.
⑤ 비행기 공중 납치와 같은 소재의 영화는 상영하지 않는다.
① 대담자를 아랫사람 대하듯 하는군.
② 너무 경직된 태도로 진행을 하고 있군.
③ 자신의 유식함을 은근히 과시하고 있군.
④ 쉬운 내용을 너무 어렵게 설명하고 있군.
⑤ 화제에서 벗어난 이야기를 너무 많이 하는군.
① 기상청 예산을 늘려 기상 장비를 더욱 첨단화한다.
② 건설 공사시 홍수에 대비한 시설 설치를 의무화한다.
③ 가정마다 홍수에 대비한 기구나 약품 등을 비치한다.
④ 기상 재해시에도 활용하도록 민방위 체제를 정비한다.
⑤ 지방 자치 단체 간의 재해 방지 체제를 유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산불 발생의 심각성 환기 | 화면 : 산불로 시커멓게 그을린 산의 모습 자막 : 지난해 발생한 산불 건수 650여 회 |
산불로 인한 피해 제시 | 화면 : 여의도를 상공에서 촬영한 모습 자막 : 피해 면적 여의도의 88배 |
산불로 동물들이 사라지는 상황에 대한 경각심 유발 | 화면 : 시커멓게 그을린 산에서 산토끼, 다람쥐가 죽어 있는 모습 자막 : 사라져 간 산토끼, 다람쥐 들 |
잔잔한 여운을 줄 수 있는 화면과 자막 | 화면 : 푸른 숲 속에서 산토끼, 다람쥐 들이 뛰어 노는 모습 자막 : ( ㉠ ) |
∙ 우회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표현할 것.
① 산불을 예방하여 푸른 자연을 보호합시다.
② 자연은 동물들이 살아갈 삶의 터전입니다.
③ 봄이 오면 또 누군가가 그리워질 것입니다.
④ 산은 우리에게 즐거움을 주는 놀이터입니다.
⑤ 그들을 다시 만나려면 50년을 기다려야 합니다.
어떻게 하면 헌혈의 필요성을 실감하게 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헌혈이 위험하다는 생각을 바꿀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헌혈이 자신에게도 유익하다는 것을 인식시킬 수 있을까?
첨단 과학으로도 혈액을 인공적으로 만들 수 없음을 알린다.
혈액을 못 구해 안타까워하는 환자들의 모습을 사진으로 제시한다.
매일 50ml정도의 새로운 혈액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강조한다.
헌혈을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점검할 수도 있음을 강조한다.
헌혈을 하는 것은 사랑을 실천하는 일임을 주지시킨다.
서론 : 방언 사용의 활성화 방안
본론 : 1. 심각한 언어 오염 실태
2. 방언의 가치
3. 사라져 가는 방언 정리
결론 : 방언을 활용한 풍부한 언어 생활 영위
서론 : 표준어와 방언에 대한 일반적 인식
본론 : 1. 표준어와 방언의 특징
2. 방언의 가치
3.방언의 효과적 활용 방안
결론 : 방언을 활용한 풍부한 언어 생활 영위
① 문제 상황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② 통일성과 일관성을 갖춘 글을 쓰기 위해
③ 주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기 위해
④ 일반화하여 근본적인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⑤ 어려운 용어를 쉬운 용어로 바꾸어 이해를 돕기 위해
① 서론 : 많은 사람들이 표준어는 우아하고 방언은 천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② 본론 1 : 의사 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공적(公的)인 자리에서는 표준어를 써야 한다.
③ 본론 2 : 방언은 이미 사라진 옛날의 어휘나 음운을 확인할 수 있는 고어 연구의 귀중한 자산(資産)이다.
④ 본론 3 : 소설이나 드라마에서 방언을 구사하면 인물의 성격이나 사건의 사실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
⑤ 결론 : 방언은 표준어의 부족한 점을 보충해 주는 소중한 자산임을 인식하여 꼭 필요한 경우에 사용한다면 더욱 풍부한 언어 생활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힘든 일정에서 숙소에 도착한 우리는 각자의 방에 짐을 풀고 식당에서 저녁을 먹었다. 반찬이 재료는 좋았지만 대체로 짭짤한 편이었다. 식사를 마친 후에는 강의실에서 탐사 활동 보고서 작성에 대한 강의를 들었다. ㉤그래서 오늘 조사한 자료에서 식물들의 종류에 따른 개체수를 확인하여 그 백분율을 계산하고 보고서를 작성했다. 다들 피곤했지만 내일 여정에 대한 기대와 설레임을 안고 기쁜 마음으로 잠자리에 들었다.
① ㉠ : ‘꾸물꾸물’은 매우 느리게 움직이는 모양을 표현하는 말인데 ‘비 내리는 모습’과는 어울리지 않으므로 ‘부슬부슬’로 바꾼다.
② ㉡ : ‘너무나’는 부정적인 표현과 호응해서 쓰이는 말이므로 ‘정말’이나 ‘매우’로 바꾼다.
③ ㉢ : 피동 표현이 불필요하게 사용되었고, 없어도 문맥에 지장이 없으므로 삭제한다.
④ ㉣ : 문맥이 어색하므로 ‘힘든 일정을 마치고’로 고친다.
⑤ ㉤ : 앞뒤의 내용을 제대로 이어주지 않으므로 ‘그런데’로 고친다.
① 채
② 열심히
③ 짭짤한
④ 백분율
⑤ 설레임
㉠ | 계연의 시뻘겋게 상기된 얼굴은, 옥화와 그녀의 아버지가 그녀들을 지켜보고 있다는 것도 잊은 듯이 성기의 얼굴만 뚫어지게 바라보고 있었으나, 버드나무에 몸을 기대인 성기의 두 눈엔 다만 불꽃이 활활 타오를 뿐, 아무런 새로운 명령도 기적도 나타나지 않았다. |
하고, 거의 울음이 다 된, 마지막 목소리를 남기고 돌아선 계연의 저만치 가고 있는 항라 적삼을, 고운 햇빛과 늘어진 버들가지와 산울림처럼 울려오는 뻐꾸기 울음 속에, 성기는 우두커니 지켜보고 있을 뿐이었다. <중략>
보는 사람마다 성기의 회춘을 거의 다 단념하곤 하였을 때, 옥화는 ⓐ이왕 죽고 말 것이라면, 어미의 맘속이나 알고 가라고 그래, 그 체 장수 영감은, 서른 여섯 해 전 남사당을 꾸며 와 이 ‘화개 장터’에 하룻밤을 놀고 갔다는 자기의 아버지임에 틀림이 없었다는 것과, ⓑ계연은 그 왼쪽 귓바퀴 위의 사마귀로 보아 자기의 동생임이 분명하더라는 것을, 통정하노라면서, 자기의 왼쪽 귓바퀴 위의 같은 검정 사마귀까지를 그에게 보여 주었다.
“나도 처음부터 영감이 ‘서른 여섯 해 전’이라고 했을 때 가슴이 섬짓하긴 했다. 그렇지만 설마 했지, 그렇게 남의 간을 뒤집어 놀 줄이야 알았나. 하도 아슬해서 이튿날 악양으로 가 명도까지 불러 봤더니 요것도 남의 속을 빤히 들여다보는 듯이 재줄대는구나, 차라리 망신을 했지.”
옥화는 잠깐 말을 그쳤다. 성기는 두 눈에 불을 켜는 듯한 형형한 광채를 띠고, 그 어머니의 얼굴을 쳐다보고 있었다.
“차라리 몰랐으면 또 모르지만 한번 알고 나서야 인륜이 있는디 어쩌겠냐.”
그리고 ⓒ부디 에미 야속타고나 생각지 말라고 옥화는 아들의 뼈만 남은 손을 눈물로 씻었다. 옥화의 이 마지막 하직같이 하는 통정 이야기에 의외로 성기는 도로 힘을 얻은 모양이었다. 그 불타는 듯한 형형한 두 눈으로 천장을 한참 바라보고 있던 성기는 ⓓ무슨 새로운 결심이나 하듯 입술을 지그시 깨물고 있었다.
ⓔ아버지를 찾아 강원도 쪽으로 가 볼 생각도 없다, 집에서 장가들어 살림을 할 생각도 없다, 하는 아들에게, 그러나, 옥화는 이제 전과 같이 고지식한 미련을 두는 것도 아니었다.
“그럼 어쩔라냐? 너 졸 대로 해라.”
“…….”
성기는 아무런 말도 없이 도로 자리에 드러 누워 버렸다.
그리고 나서 한 달포나 넘어 지난 뒤였다.
성기가 좋아하는 여러 가지 산나물이 화갯골에서 연달아 자꾸 내려오는 이른 여름의 어느 장날 아침이었다. 두릅회에 막걸리 한 사발을 쭉 들이키고 난 성기는 옥화더러,
㉡“어머니, 나 엿판 하나만 마춰 주.” 하였다.
“…….”
옥화는 갑자기 무엇으로 머리를 얻어 맞은 듯이 성기의 얼굴을 멍하니 바라보고 있었다.
그런 지도 다시 한 보름이나 지나, 뻐꾸기는 또 다시 산울림처럼 건드러지게 울고, 늘어진 버들가지엔 햇빛이 젖어 흐르는 아침이었다. 새벽녘에 잠깐 가는 비가 지나가고, 날은 다시 유달리 맑게 개인 화개 장터 갈림길 위에서, 성기는 그 어머니와 하직을 하고 있었다. 갈아입은 옥양목 고의 적삼에, 명주 수건까지 머리에 질끈 동여매고 난 성기는, 새로 맞춘 새하얀 나무 엿판을 질빵해서 느직하게 엉덩이 즈음에다 걸었다. 윗목 판에는 새하얀 가락엿이 반넘어 들어 있었고, 아랫 목판에는 팔다 남은 이야기책 몇 권과 간단한 방물이 좀 들어 있었다.
그의 발 앞에는, 물과 함께 갈리어 길도 세 갈래로 나 있었으나, 화갯골 쪽엔 처음부터 등을 지고 있었고, 동남으로 난 길은 하동, 서남으로 난 길이 구례, 작년 이맘때도 지나 그녀가 울음 섞인 하직을 남기고 체 장수 영감과 함께 넘어간 산모퉁이 고갯길은 퍼붓는 햇빛 속에 지금도 하동 장터 위를 굽이돌아 구례 쪽을 향했으나, 성기는 한참 뒤 몸을 돌렸다. 그리하여 그의 발은 구례 쪽을 등지고 하동 쪽을 향해 천천히 옮겨졌다.
한 걸음, 한 걸음, 발을 옮겨 놓을수록 그의 마음은 한결 가벼워지어, 멀리 버드나무 사이에서 그의 뒷모양을 바라보고 서 있을 어머니의 주막이 그의 시야에서 완전히 사라져 갈 무렵 하여서는, 육자배기 가락으로 제법 콧노래까지 흥얼거리며 가고 있는 것이었다.
① 외면 묘사를 통해 인물의 내면 심리를 드러내고 있다.
② 객관적 입장에서 사건의 경과를 간결히 요약하고 있다.
③ 치밀한 배경 묘사로 서정적인 분위기를 그려내고 있다.
④ 상징적 사물을 통해 인물의 내면 심리를 암시하고 있다.
⑤ 인물의 내면 심리를 분석하여 직접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①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드러내고 있다.
② 새로운 인물의 등장을 암시하고 있다.
③ 암울한 현실을 뚜렷이 부각시키고 있다.
④ 내적 갈등이 해소되었음을 암시하고 있다.
⑤ 향토적인 분위기로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① ⓐ
② ⓑ
③ ⓒ
④ ⓓ
⑤ ⓔ
지은이 : 김동리 출판사 : 푸른 하늘
읽은 시기 : 2002년 8월 11일
주요 등장 인물 : 성기, 계연, 옥화, 체 장수 등
감 상
장터는 장돌뱅이들이 모였다 흩어지는 곳이다. 그래서 ㉮배경으로 제시된 화개 장터는 단순한 배경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작품 전체의 주제와 관련이 있다. 그리고 ㉯‘성기, 체 장수 영감’ 등은 역마살을 지닌 운명의 사슬에 묶여 있다. 게다가 ㉰계연과 결혼시켜 아들의 역마살을 극복해 보려던 옥화의 시도는 실패하고 만다. 어쨌든 ㉱그의 유랑이 아버지를 찾는다든가 사랑에 빠졌던 계연을 찾아 떠나는 데 있지 않음은 확실하다. ㉲죽을 고비를 넘긴 성기가 집을 떠나는 것은 자신에게 주어진 역마살의 운명을 극복하려는 시도로 보아야 한다.
① ㉮
② ㉯
③ ㉰
④ ㉱
⑤ ㉲
언어와 사고의 관계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언어가 없으면 사고가 불가능하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언어와 사고 작용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이들이 상호 작용을 한다는 것을 부정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어느 것이 먼저인지 정확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언어와 사고가 서로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 가지 근거를 통해서 뒷받침된다. 예를 들어, 어린이는 언어 능력이 성숙되어 가는 것과 함께 지적 능력, 곧 사고력의 발달도 ㉡촉진된다. 그 결과,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문장은 점점 더 길어지고 복잡해진다. 한편, 인간이 언어 능력을 갖추고 난 뒤부터 언어와 사고는 불가분의 관계에 놓이게 된다. 이때부터는 언어가 사고의 도구가 되고 추진력이 된다. 다시 말해서, 언어라는 도구를 써서 생각을 하게 되며, 그 결과로 사고하는 과정 자체가 빠르고 명확해질 뿐만 아니라, 사고의 능력도 점점 커지게 된다는 것이다.
인간이 사물을 인식하거나 판단할 때에 언어가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는 실험 결과도 있다. 각각의 다른 색으로 된 120개의 색종이를 만들어, 그 중의 하나를 골라서 학생에게 잠깐 보여 준 뒤에 그것을 다시 찾아내게 해 보았는데, 학생들은 이름을 잘 알고 있는 기본적인 색깔들을 가장 쉽게 알아보았다. 그 다음으로, 그들은 이름을 붙일 수 있는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색깔, 즉 아직 이름은 없으나 억지로라도 이름을 만들어 붙이기가 쉬운 색깔들을 쉽게 분별해 내었고, 이름을 붙이기가 어려운 색깔을 가장 더디게 분별해 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정보나 지식을 파악하는 데 언어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 주는 것이다.
언어와 사고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인간이 세상을 인식하는 방법, 즉 그의 세계관까지도 결정한다는 견해도 있다. 독일의 철학자 훔볼트는, 한 국민의 사고 방식이나 세계관이 다른 국민의 그것과 차이가 나는 이유는, 그 국민이 사용하는 언어의 구조가 다른 국민이 쓰고 있는 언어의 구조와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언어와 사고의 관련성은 인간의 사고력이라는 특성이 언어에 반영되어 있다는 점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인간의 사고력 가운데 중요한 하나는 사물의 공통성을 추출하는 추상화(抽象化) 능력이다. 즉, ‘나무’라는 말이 실제로 가리키는 대상으로서는 ‘소나무, 밤나무, ……, 큰 나무, 작은 나무, ……’ 등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이러한 각각의 나무들을 보면서, 이들의 차이점은 버리고 공통점만을 인식하여, 이를 ‘나무’라는 ㉢하나의 범주로 일반화해서 받아들이는 사고 작용이 추상화이다. 이러한 추상화의 기능은 언어 능력의 가장 중요한 특징에 해당한다.
① 언어는 인간의 문화와 깊은 관련을 맺어 왔다.
② 언어는 인간의 사고력이라는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③ 언어는 인간이 세상을 인식하는 방법까지도 결정한다.
④ 언어는 인간이 사물을 인식하거나 판단할 때에 영향을 끼친다.
⑤ 언어는 인간이 언어 능력을 갖춘 뒤부터 사고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게 된다.
① 시골에 계시는 할머니는 비록 글을 읽지는 못하시지만 옛날이야기를 많이 알고 계신다.
② 돌이 갓 지난 영구는 가게에 갈 때마다 엄마 손을 끌어당겨 먹고 싶은 과자를 가리킨다.
③ 재용이는 사랑을 직접 고백할 수 없어서 마음이 담긴 음악 CD를 영희에게 선물로 보냈다.
④ 말수가 적은 상호는 자신의 생각을 잘 드러내지 않아서 친구들로부터 자주 오해를 받는다.
⑤ 철수와 규병이는 초등학교 때부터 친구로 지냈기 때문에 말을 하지 않아도 상대방의 생각을 잘 안다.
① 앞으로 나아감.
② 양이나 수치를 늘림.
③ 재촉하여 빨리 진행하도록 함.
④ 동식물 따위가 자라서 점점 커짐.
⑤ 기운이나 세력 따위가 점점 더 늘어남.
바위
유치환
내 죽으면 한 개 바위가 되리라
아예 애련(愛憐)에 물들지 않고
희로(喜怒)에 움직이지 않고
비와 바람에 깎이는 대로
억년(億年) 비정의 함묵(緘黙)에
㉠안으로 안으로만 채찍질하여
드디어 생명도 망각하고
흐르는 구름
머언 원뢰(遠雷)
꿈꾸어도 노래하지 않고
두 쪽으로 깨뜨려져도
소리하지 않는 바위가 되리라
(나)
귀천(歸天)
천상병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새벽빛 와 닿으면 스러지는
이슬 더불어 손에 손을 잡고,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노을빛 함께 단 둘이서
기슭에서 놀다가 구름 손짓하며는,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하리라…….
(다)
해바라기의 비명(碑銘)
―청년 화가(靑年畵家) L을 위하여
함형수
나의 무덤 앞에는 그 차가운 비(碑)ㅅ돌을 세우지 말라.
나의 무덤 주위에는 그 노오란 해바라기를 심어 달라.
그리고 해바라기의 긴 줄거리 사이로 끝없는 보리밭을 보여 달라.
노오란 해바라기는 늘 태양(太陽)같이 태양(太陽)같이 하던 화려(華麗)한 나의 사랑이라고 생각하라.
푸른 보리밭 사이로 하늘을 쏘는 노고지리가 있거든 아직도 날아오르는 나의 꿈이라고 생각하라.
① 지금까지의 삶을 돌이켜보며 반성하고 있다.
② 전원에서의 자연 친화적인 삶을 추구하고 있다.
③ 밝은 미래가 곧 다가올 것을 확고하게 믿고 있다.
④ 미래의 상황을 가정하여 인생관을 피력하고 있다.
⑤ 자신이 처한 현재 상황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① 시인은 남부러울 것 없는 삶을 살았을 거야. 이 세상에서의 삶을 ‘소풍’에 비유하고 있잖아?
② ‘이슬’이나 ‘노을빛’은 덧없으면서도 아름답잖아? 시인은 덧없는 삶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줄 아는 사람이라구.
③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라는 말을 세 번이나 반복한 걸 보면 시인은 삶의 의욕을 상실한 채 살아가는 사람이라는 게 분명해.
④ 난 굉장히 고독한 사람일 거라고 생각해. ‘이슬’이나 ‘노을빛’과 손잡고 논다는 걸 보면 시인 주변에는 친한 사람이 하나도 없었다는 거 아닐까?
⑤ 난 시인이 허무주의적인 성격을 지닌 인물이라고 생각해. 작품을 말없음표로 끝맺은 것은 결국 인생에 대해 언급한다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것 아니겠어?
① (나) : 죽음 / (다) : 이상(理想)
② (나) : 사랑 / (다) : 염원(念願)
③ (나) : 고향 / (다) : 도전(挑戰)
④ (나) : 자연 / (다) : 탈출(脫出)
⑤ (나) : 천국 / (다) : 체념(諦念)
① 대상을 세부(細部)까지 치밀하게 묘사한 그림
② 옅은 색을 사용하여 은은한 느낌을 주는 그림
③ 여백의 미를 활용하여 은근한 느낌을 주는 그림
④ 원색(原色)을 사용하여 강렬한 느낌을 주는 그림
⑤ 먹물의 농담(濃淡)을 이용하여 대상을 표현한 그림
① 나는 나룻배 / 당신은 행인 / 당신은 흙발로 나를 짓밟습니다. / 나는 당신을 안고 물을 건너갑니다. / 나는 당신을 안으면 깊으나 옅으나 급한 여울이나 건너갑니다. - 한용운, 나룻배와 행인
② 마음이 어지러운 날은 / 수를 놓는다. // 금실 은실 청홍(靑紅) 실 / 따라서 가면 / 가슴 속 아우성은 절로 갈앉고 // 처음 보는 수풀 / 정갈한 자갈돌의 / 강변에 이른다. - 허영자, 자수(刺繡)
③ 여보소, 공중에 / 저 기러기 / 공중엔 길 있어서 잘 가는가? // 여보소, 공중에 / 저 기러기 / 열 십자(十字) 복판에 내가 섰소. // 갈래갈래 갈린 길 / 길이라도 / 내게 바이 갈 길은 하나 없소. - 김소월, 길
④ 남으로 창을 내겠소. / 밭이 한참갈이 / 괭이로 파고 / 호미론 김을 매지요. // 구름이 꼬인다 갈 리 있소. / 새 노래는 공으로 들으랴오. / 강냉이가 익걸랑 / 함께 와 자셔도 좋소. - 김상용, 남(南)으로 창(窓)을 내겠소
⑤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 삼백 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중국 무협 영화는 스토리가 뻔해서 앞만 보면 뒤는 줄줄 꿰뚫을 수가 있다. ㉡짐작컨대 이런 영화는 엔트로피가 0에 가깝다. 모든 것이 빤하기 때문이다. 이러면 아무도 극장에 가지 않을 것이다. 사람들의 흥미를 끌려면 영화에 엔트로피를 창출해서 사건을 예측하기 어렵게 만들어야 한다. 작품을 참신하게 하려고 엔트로피를 늘리는 건 예술이 오랫동안 사용해 온 해묵은 수법이다. 물론 ㉢무조건 복잡하다고 좋은 작품이 되는 것은 아니다. 예측 불가능성이 지나치게 크면 그런 정보는 사람들에게 충격을 주게 된다.
미국의 수학자 버코프는 $M=\dfrac{O}{C}$라는 공식을 제시했다. 여기서 $M$은 ‘미의 척도’를, $O$는 ‘질서’를, $C$는 ‘복잡성’을 가리키는 약자이다. 말하자면 미(美)란 질서와 복잡성의 함수란 얘기다. 다시 말해, 아름다움은 예측 가능성[네그 엔트로피(neg entropy)]과 예측 불가능성[엔트로피]의 함수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정보 이론에서는 미(美)를 ‘엔트로피와 네그 엔트로피의 최적의 관계’로 규정한다. 말하자면 일탈과 질서, 예측 불가능성과 예측 가능성이 적절한 비례를 이루고 있을 때 사물은 가장 아름답다는 얘기다.
하지만 정보에는 미적 정보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의미 정보’도 있다. 미적 정보는 앞의 버코프 공식에서 ‘복잡성’에 해당한다. 반면 의미 정보는 ‘질서’에 해당한다. 작품이 불확실할 때 우리는 ⓐ‘미적 쾌감’을 느끼고, 작품이 질서 정연하고 예측 가능할 때 우리는 작품의 ⓑ‘의미’를 이해한다. 따라서, 미적 정보는 엔트로피와 일치하고, 의미 정보는 네그 엔트로피와 일치할 수 있다. 가령 당신이 지금 여러 서체로 된 서예 작품을 보고 있다고 하자. 거기엔 인쇄 활자처럼 분명한 작품도 있고, 마구 흘려 써서 무슨 글자인지 알아보기 힘든 것도 있다. 활자처럼 분명한 작품은 무슨 뜻인지 쉽게 알 수 있으나 별로 미적 쾌감은 주지 못한다. 여기에선 의미 정보가 미적 정보보다 우세하다. 반면 마구 흘려 쓴 작품에서는 서체가 주는 쾌감은 있어도 도대체 무슨 글자인지 알아보기가 힘들다. 여기에서는 미적 정보가 의미 정보보다 우세하다. 즉, 글자꼴이 분명할수록 의미 정보가 증가하고, 글자가 자유로이 제 꼴을 벗어날수록 미적 정보가 증가한다.
이렇게 보면 고전 예술과 현대 예술의 차이가 어디에 있는지 드러난다. 의미를 중요시한 고전주의 예술에서는 대상의 형태가 가장 중요했다. 색채는 단지 대상의 형태를 분명히 드러내는 수단일 뿐이다. 하지만 현대 예술에서는 대상의 형태가 사정없이 파괴된다. 형태와 색채는 대상에서 해방되어 자유로운 구성을 이룬다. 결국 고전 예술은 의미 정보를 추구한 반면, 현대 예술은 의미 정보를 단순화하는 가운데 미적 정보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① 작품에 미적 정보를 늘리면 복잡성이 증가한다.
② 작품이 질서 정연하면 그 의미를 이해하기가 쉽다.
③ 예측 가능성이 높은 작품은 엔트로피가 0에 가깝다.
④ 정보 이론에서는 미(美)를 질서와 복잡성의 함수로 본다.
⑤ 현대 예술의 동향은 의미 정보를 강화하려는 추세이다.
① 소설이라면 특이한 체험을 다룬 작품일수록 엔트로피가 높다.
② 영화라면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내용으로 전개해야 엔트로피가 높다.
③ 드라마라면 시청자가 예측하는 방향으로 사건이 전개될수록 엔트로피가 높다.
④ 미술이라면 사실적인 그림보다 추상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야 엔트로피가 높다.
⑤ 음악이라면 선율이나 화음 구조, 연주 악기의 종류가 복잡할수록 엔트로피가 높다.
ㄴ … 제40항 어간의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ᄒ’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로 될 적에는 거센소리로 적는다.
ㄷ … [붙임 1] ‘ᄒ’이 어간의 끝소리로 굳어진 것은 받침으로 적는다.
ㄹ … [붙임 2]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ㅁ … [붙임 3] 다음과 같은 부사는 소리대로 적는다.
결단코 기필코 하여튼 요컨대
정녕코 필연코 하마터면 한사코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ㅁ
① 과유불급(過猶不及)
② 설상가상(雪上加霜)
③ 점입가경(漸入佳境)
④ 금상첨화(錦上添花)
⑤ 연목구어(緣木求魚)
㉠ | 이 지 : 겨울이면 무명 나이, 여름이면 삼베 길쌈, 가을이면 염색을 하기, 이럼서 사시 장철 주야로 쉴새없이 거둔 돈을 월수 일수 놓아 수천금을 모았구나. |
덕 중 : 염라국 십전대왕께 제문을 올리시는 중이오.참견을 하려거든 글로 하시오.
춘 풍 : 추월의 얼굴 모습 들어 보게. (곡을 붙여서) 사창(紗窓)을 반개하고 녹의홍상 두르고 천연히 앉았으니 연광(年光)은 십오 세라. 해당화 저리 가고, 서시는 이리 가고, 양귀비는 이저리 가고, 세월 가고, 소리도 다 가고 나서 남은 것이 추월이다. 내 이것을 천자문 보듯 두고 보려고 그러한다. 그 돈 수천금은 꼭 나를 다고.
덕 중 : ㉡원, 사람이 누웠거든, 문상은 놔두고 문안이나 한 마디 해 보시오.
춘 풍 : 내가 지금은 상거지가 돼서 그 집 물 져 나르는 사환 노릇을 하고 있어. 먹느니 이 빠진 헌 사발에 누른밥에 토장덩이 한 가지로 연명을 하는 지경이여. 그 돈 수천금은 나를 꼭 다고.
춘풍의 처가 이 소리를 듣고 의식을 찾아 몸을 일으킨다.
처 : 애고, 이것이 무슨 소린가. 어디 마모색이나 봅시다. (형색을 살피고 내쳐 운다.) 애벌레 망건 쥐꼬리 당줄 통영갓은 어디 두고 파립 폐관이 웬일이오?
춘 풍 : (귀찮아서 뿌리치며) 그래, 내가 집 나올 적에 돈 한푼 팔푼이며, 자식 삼 형제를 살기 좋게 마련을 해 주고 훨훨 단신 나온 나를 송장 시늉까지 해 가며 이리 추잡하게 찾아다닌단 말인가.
처 : 그래, 그 돈 한푼 팔푼은 당신이 집 떠날 적에 하도 섭섭해서 청어 한 뭇 사 가지고 당신 한 마리 나 아홉 마리 안 먹었소.
춘 풍 : 그래, 자식 셋은 다 어쨌나?
처 : 큰놈은 나무하러 가서 정자나무 밑에 낮잠 자다가 솔방울 맞아 죽고.
춘풍 섧게 운다.
처 : 둘째 놈은 앞 도랑에서 미꾸라지 잡다가 물에 빠져 죽고.
춘풍 섧게 운다.
처 : 셋째 놈은 하도 귀여워 어루다가 경끼로 풍에 걸려 죽었소.
춘풍 섧게 울다가 홧김에 휘둘러치니 처는 졸도를 한다.
이 지 : 아니, 돈 수천금을 달라고 해서 말을 붙여 보라고 살려 놓았더니 기껏 도루 죽이나.
춘 풍 : 아들 삼 형제 죽어 버렸는데 세간은 남겨서 뭘해.
덕 중 : 세간 없이 추월이는 어찌 보구?
춘 풍 : 아참, 그렇지. 의원, 의원!
이 지 : 급상한이라 난치병이여.
춘 풍 : 봉사, 봉사님!.
부 : (지팡이로 앞을 더듬거리며 나온다.) 어디서 불렀소?
춘 풍 : 여기요 여기. 어서 죽은 사람 살아나는 경을 읽어 주시오.
부 : 성씨가 무엇이오?
춘 풍 : 심달래 심씨.
부 : (지팡이 끝에 달린 요령 소리를 내고) 해동 조선국 서울시 남산 거주 심달래 신운이 불길하여 우연졸도, 명재경각하였으니 천지신명은 대자대비하옵소서. (요령 소리) 동부 따는 저 처자야 니 머리 끝에 드린 댕기 공단이냐, 아하하 헤헤이요. 비단이면 무얼 하고 공단이면 무엇을 할까, 아하하 헤이요.
춘 풍 : 경을 다 읽었소?
부 : 경을 다 읽으면 살겠소.
춘 풍 : 경을 얼마나 읽었나?
부 : 경을 꼭 절반.
춘 풍 : 어서 읽게.
부 : 복채를 내시오.
춘 풍 : 얼만가?
부 : 돈 꼭 천 냥.
춘 풍 : 그만둘라우. 치우시우.
부 : 이대로 중도막에 끝내 두면 죽었다 살아났다 이승 저승을 오락가락하여 나중에 성가셔서 어쩔라고.
춘 풍 : 수천금 너 다 주고 나는 이 병신 업고 장마다 구걸을 다니고? 치워. 갖다 묻어야겠어.
① 이지는 춘풍의 처에게 동정적인 태도를 보여야 해.
② 부는 소경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행동하여야 해.
③ 춘풍은 처에게 애정이 없는 듯한 태도를 보여야 해.
④ 덕중은 춘풍에게 비판적 태도를 취하는 것이 좋겠어.
⑤ 춘풍의 처는 남편에게 냉담한 표정을 짓도록 해야 해.
① 돈만 앞세우는 춘풍의 비인간적 처사는 비난받아 마땅해.
② 비극적인 사건을 해학적으로 표현한 점이 독특하게 느껴져.
③ 여자의 몸으로 갖은 고난을 겪었던 춘풍의 처를 보니 참 안쓰럽군.
④ 사랑은 모든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소중한 것임을 느낄 수 있어.
⑤ 자식을 셋이나 잃은 부모의 애통한 심정은 어디에도 비할 수 없겠지.
① 극적 흥미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인과 중심으로 사건을 재구성하였다.
② 극의 전개상 불필요하고 장황한 부분이라서 짧은 대사로 처리하였다.
③ 당시의 생활상을 사실적으로 그리기 위해서 토속적 어휘로 대체하였다.
④ 독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도록 새로운 표현 기법을 사용하였다.
⑤ 현대 관객들의 지적 수준에 맞추기 위해 일상 용어로 바꾸어 쓰고 있다.
① 매우 조심스럽게
② 한심스럽다는 듯이
③ 될 대로 되라는 듯이
④ 바라고 있었다는 듯이
⑤ 다 죽어 가는 목소리로
내 님믈 그리ᅀᆞ와 우니다니
㉠산(山) 졉도ᇰ새 난 이슷ᄒᆞ요ᅌᅵ다
아니시며 거츠르신 ᄃᆞᆯ 아으
잔월 효성(殘月曉星)이 아ᄅᆞ시리ᅌᅵ다
넉시라도 님은 ᄒᆞᆫᄃᆡ녀져라 아으
벼기더시니 뉘러시리ᅌᅵᆺ가
과(過)도 허믈도 천만(千萬) 업소ᅌᅵ다
ᄆᆞᆯ힛마리신뎌
ᄉᆞᆯ읏븐뎌 아으
니미 나ᄅᆞᆯ ᄒᆞ마 니ᄌᆞ시니ᅌᅵᆺ가
아소 님하, 도람 드르샤 괴오쇼셔
- 정서, 정과정(鄭瓜亭) -
[작품 배경]
이 작품은 작자가 귀양지에서 임금의 부름을 기다리다가 소식이 없자, 자신의 억울함과 결백을 밝히려고 지었다고 한다.
*그리ᅀᆞ와 우니다니 : 그리워하여 울고 지내더니
*이슷ᄒᆞ요ᅌᅵ다 : 비슷합니다
*거츠르신 ᄃᆞᆯ : 거짓인 줄을
*ᄒᆞᆫᄃᆡ 녀져라 : 함께 살아가고 싶구나
*벼기더시니 : 우기시던 이
*ᄆᆞᆯ힛마리신뎌 : 뭇사람들의 참소하는 말입니다.
*ᄉᆞᆯ읏븐뎌 : 슬프구나
(나)
ᄒᆞᄅᆞ밤 서리김의 기러기 우러 녤 제, 危위樓루에 혼자 올나 水슈晶졍簾념 거든말이, 東동山산의 ᄃᆞᆯ이 나고 北북極극의 별이 뵈니, 님이신가 반기니 눈믈이 절로 난다. 淸쳥光광을 쥐여내여 鳳봉凰황樓누의 븟티고져. 樓누 우ᄒᆡ 거러 두고 八팔荒황의 다 비최여 深심山산 窮궁谷곡 졈낫ᄀᆞ티 ᄆᆡᆼ그쇼셔. 乾건坤곤이 閉폐塞ᄉᆡᆨᄒᆞ야 白ᄇᆡᆨ雪셜이 ᄒᆞᆫ 빗친 제, ㉡사ᄅᆞᆷ은ᄏᆞ니와 ᄂᆞᆯ새도 긋쳐 잇다. 瀟쇼湘샹南남畔반도 치오미 이러커든 玉옥樓누高고處쳐야 더옥 닐너 므ᄉᆞᆷᄒᆞ리. 陽양春츈을 부쳐내여 님 겨신 ᄃᆡ 쏘이고져. 茅모簷쳠 비쵠 ᄒᆡᄅᆞᆯ 玉옥樓누의 올리고져. 紅홍裳샹을 니믜ᄎᆞ고 翠ᄎᆔ袖슈ᄅᆞᆯ 半반만 거더, 日일暮모 脩슈竹듁의 혬가림도 하도 할샤. 댜ᄅᆞᆫ ᄒᆡ 수이 디여 긴 밤을 고초 안자, 靑쳥燈등 거른 겻ᄐᆡ 鈿뎐箜공篌후 노하 두고, ᄭᅮᆷ의나 님을 보려 ᄐᆡᆨ밧고 비겨시니, 鴦앙衾금도 ᄎᆞ도 ᄎᆞᆯ샤 이 밤은 언제 샐고. ᄒᆞᄅᆞ도 열두 ᄯᅢ, ᄒᆞᆫ ᄃᆞᆯ도 셜흔 날, 져근덧 ᄉᆡᆼ각 마라. 이 시ᄅᆞᆷ 닛쟈 ᄒᆞ니 ᄆᆞᄋᆞᆷ의 ᄆᆡ쳐 이셔 骨골髓슈의 ᄭᅦ텨시니, 扁편鵲쟉이 열히 오나, 이 병을 엇디 ᄒᆞ리. 어와, 내 병이야 이 님의 타시로다. ᄎᆞᆯ하리 싀어디여 범나븨 되오리라. 곳나모 가지마다 간 ᄃᆡ 죡죡 안니다가, 향 므든 ᄂᆞᆯ애로 님의 오ᄉᆡ 올므리라. 님이야 날인 줄 모ᄅᆞ샤도 내 님 조ᄎᆞ려 ᄒᆞ노라.
- 정철, 사미인곡(思美人曲) -
*우러 녤 제 : 울며 (날아) 갈 때에
*졈낫ᄀᆞ티 : 한낮같이
*사ᄅᆞᆷ은ᄏᆞ니와 : 사람은 물론이지만
*ᄂᆞᆯ새 : 날짐승, 나는 새
*긋쳐 잇다 : 그쳐 있다
*모쳠 : 초가집 처마
*니믜ᄎᆞ고 : 여미어 차고
*혬가림 : 요량하고 분별하는 일
*댜ᄅᆞᆫ ᄒᆡ : 짧은 해
*져근덧 : 잠깐동안
*ᄭᅦ텨시니 : 사무쳤으니
*싀여디여 : 사라져서. 죽어 없어져서
① 자연에서 속세의 괴로움을 잊고자 한다.
② 임에 대한 원망의 심정을 토로하고 있다.
③ 미래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하고 있다.
④ 절망적인 상황을 스스로 극복하려고 한다.
⑤ 임과의 이별로 인한 슬픔을 노래하고 있다.
① 추강(秋江)에 밤이 드니 물결이 차노매라
낚시 드리치니 고기 아니 무노매라
무심한 달빛만 싣고 빈 배 저어 오노라 - 월산대군
② 내 일 망녕된 줄 나라 하여 모를 손가
이 마음 어리기도 님 위한 탓이로세
아무가 아무리 일러도 임이 헤아리소서. - 윤선도
③ 천만 리(千萬里) 머나먼 길에 고운 님 여의옵고
내 마음 둘 데 없어 냇가에 앉았으니
저 물도 내 안 같아야 울어 밤길 예놋다. - 왕방연
④ 수양산(首陽山) 바라보며 이제(夷齊)를 한(恨)하노라.
주려 죽을진들 채미(採薇)도 하는 것가.
비록애 푸새엣것인들 긔 뉘 땅에 났나니. - 성삼문
⑤ 흥망이 유수(有數)하니 만월대도 추초(秋草)로다.
오백 년(五百年) 왕업이 목적(牧笛)에 부쳐시니
석양에 지나는 객(客)이 눈물계워 하노라. - 원천석
① 危위樓루에 혼자 올나 水슈晶졍簾념 거든말이
② 淸쳥光광을 쥐여내여 鳳봉凰황樓누의 븟티고져
③ 茅모簷쳠 비쵠 ᄒᆡᄅᆞᆯ 玉옥樓누의 올리고져
④ ᄭᅮᆷ의나 님을 보려 ᄐᆡᆨ밧고 비겨시니
⑤ ᄎᆞᆯ하리 싀어디여 범나븨 되오리라
① 그렇게 바꾸면 화자의 고귀한 지위를 표현할 수 없게 돼.
② 그러면 화자의 성품이 너무 가볍게 느껴지는 경향이 있어.
③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면 너무 상투적이잖아.
④ 흔한 새로 하면 오히려 참신한 이미지를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해.
⑤ 그러면 한(恨)의 이미지가 사라져서 시 전체의 의미가 약화되잖아.
① 적막함
② 지루함
③ 소란함
④ 다정함
⑤ 명랑함
왕건의 지도력과 정책이 이렇게 호소력을 가지게 된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먼저 왕건은 초기에 궁예 의 휘하에 들어감으로써 황해도와 경기 북부 지역의 대표 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데 성공하였다. 즉, 왕건은 당시 한반도의 정세 변화를 정확히 판단하고 기민하게 행동함으로써, 예성강 하구의 중간 세력에 ㉠지나지 않았던 자신의 세력 기반을 궁예의 휘하에서 성공적으로 확대시켜 나간 것이다. 그리하여 서해안 해상 세력 전체를 장악하고 나아가 중부 내륙 지방에서도 상당한 지지 기반을 확보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왕건은 토착 세력이었으므로 궁예나 견훤에 비하면 중간 세력 정도에 머무를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이후 궁예 세력을 역이용하여 상당한 세력을 확보한 다음부터는 출신 기반의 약점이 오히려 커다란 강점으로 작용하였다. 초적(좀도둑) 세력에서 출발한 궁예나 견훤이 ‘타도 신라’의 수준을 벗어나기 어려웠던 데 비해, 왕건은 군소 지방 세력들을 포용할 수 있는 정치적 기반을 가지게 된 것이다. 즉, 지방 세력들의 눈에는 왕건이야말로 원래 그들과 같은 토착적 지역 기반을 가진 세력이자 친(親) 신라 세력까지도 아우를 수 있는 정치 세력으로 비쳐졌을 것이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왕건은 적시에 포용 정책을 내세웠고, 이것은 당시 지방 세력가들을 규합할 수 있는 아주 적절한 대책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했던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왕건이 내세운 몇 가지 행동과 정책은 그가 자기 시대에 대한 정확한 역사 의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왕건이 정변에 성공한 뒤 밝힌 대민 정책에는 궁예 시대에는 보기 어려운, 사회·경제적 접근을 한 내용이 많이 담겨 있다. 왕건은 궁예의 실패가 사회·경제적 실정과 민심의 이반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그 해결책으로 새로운 경제 정책을 제시하였다. 근검 절약·세금 감면 등 백성을 위한 경제적 안정책을 발표했을 뿐만 아니라, “백성들로부터 세금을 거둠에 있어, 일정한 도가 있어야 한다.”라고 하고 새로운 조세 제도를 수립하였다. 왕건은 당시의 사회 혼란이 새로운 정치·경제적 질서의 수립을 요구하는 사회 전환 과정이었다는 것을 정확히 파악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 의식을 갖고 있었기에 당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희망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었다.
당시의 지방 세력들은 물론이고 수많은 지식인들의 동향도 그를 향하고 있었다. 궁예가 ‘미륵불’을 자칭하고 경전을 직접 쓰는 등 불교 지성계의 정상으로 자처하는 오만을 보이면서 이를 비판하는 승려 석총을 죽이는 동안, 전주에서 견훤을 만난 광양 옥룡사의 동진대사 경보는 ㉡“새들도 쉬려 할 때는 나무를 가려서 앉는데 하물며 나야…….”라고 말하며 자신의 마음이 왕건으로 향하고 있음을 보였다. 역사는 이미 궁예나 견훤을 버리고 왕건을 향하여 전개되고 있었던 것이다.
① 왕건과 백성의 관계는 어떠했는가?
② 왕건의 경제 정책의 특징은 무엇인가?
③ 왕건의 정치적 성공 요인은 무엇인가?
④ 왕건은 후세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⑤ 왕건은 왜 후삼국을 통일하려 했는가?
① ‘경보’는 시류에 편승하는 행동을 일삼는 승려였다.
② ‘석총’은 비판 의식이 높은 불교계의 지식인이었다.
③ ‘견훤’은 힘은 있었으나 전술적인 지략이 부족했다.
④ ‘궁예’는 국가 운영상의 강력한 추진력이 부족했다.
⑤ ‘왕건’은 포용력은 있었으나 우유부단한 점이 많았다.
① 훌륭한 정치가는 어려운 시대에나 나올 수 있어.
② 민심에 기반을 둔, 백성을 위하는 정치라야 성공할 수 있어.
③ 훌륭한 정치가라면 지식인의 지지를 받으려는 노력도 해야 해.
④ 가혹한 정치는 성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역사가 보여 주고 있어.
⑤ 훌륭한 정치가라면 정세를 정확히 판단하는 통찰력이 있어야 해.
① 불과(不過)했던
② 편입(編入)됐던
③ 집착(執着)했던
④ 합세(合勢)했던
⑤ 동참(同參)했던
자, 새는 백성을 비유하고 있고, 나무는 군주를 비유하고 있다면, 그래서 새가 휴식을 위해 나무를 가려 앉는다면, 백성들은 무엇을 위해 군주를 선택할까요? 저기, 우리 반의 귀염둥이 정하! (A)에 들어갈 말이 뭘지 본문을 참고로 하여 간단하게 대답해 볼까요?
① 예, ‘신앙의 자유’라고 생각합니다.
② 예, ‘외교적 성과’라고 생각합니다.
③ 예, ‘생활의 안정’이라고 생각합니다.
④ 예, ‘지식인의 우대’라고 생각합니다.
⑤ 예, ‘학문의 발전’이라고 생각합니다.
환경 호르몬은 우리 주변 ‘환경’에 존재하는 물질이 생체 내로 들어와서 기존의 ‘호르몬’처럼 작용하기 때문에 붙여진 말로서, 학술 용어로는 ‘내분비계 교란 물질(endocrine disrupters)’이라고 한다. 이런 물질들은 산업 활동의 부산물로 만들어진 것으로, 생태계 내에서 자연적으로는 ㉡분해가 거의 되지 않으면서, 생체 내로 유입되면 극히 적은 양으로도 기존 호르몬의 작용을 비슷하게 모방하거나 아예 작용하지 못하게 한다. ‘내분비계 교란 물질’이란 이런 역할을 하는 화학 물질들을 통칭해서 부르는 말이다. 2000년까지 알려진 환경 호르몬은 67종이지만, 얼마나 더 늘어날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런데 환경 호르몬이 왜 문제가 될까? 그것은 이 호르몬이 생체 내에서 성장과 발육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각종 암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생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다. 이것은 동물들의 발생 과정이 워낙 미묘해서 아주 작은 영향에도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대개의 동물의 암컷과 수컷은 유전자의 대부분이 같으며, 단지 성염색체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처음에 난자와 정자가 수정에 성공해서 발생을 시작할 때에는 성의 분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그대로 발생이 진행된다면 개체는 정상적인 암컷과 수컷이 된다. 그런데 염색체상으로는 분명한 암컷이라도 이 시기에 남성 호르몬에 지나치게 노출되면, 정상적인 암컷으로 성장하는 데에 장애를 받을 수 있고, 아무리 수컷일지라도 이 시기에 남성 호르몬이 부족하면 불완전한 수컷으로 성장하게 된다. 환경 호르몬이 바로 이 순간에 작용하여, 성 분화를 엉망으로 만들어 놓기 때문에 이들 개체에서는 성 기능에 장애가 생겨 수컷들이 암컷들의 구애에 관심도 없이 빈둥거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혹시 수정이 되더라도 허약한 새끼가 태어나게 되어 어린 개체의 사망률이 빠르게 증가한다.
이 밖에도 이들은 신경계와 면역계의 이상을 가져와 각종 질병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천식과 알레르기의 증가 및 유방암, 전립선암 등의 증가에 있어서 환경 호르몬이 어느 정도 관여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특히, 다이옥신의 경우를 보면, ㉢생물 농축 현상이 극심해서 더욱 문제를 가중시킨다.
㉣애초에 환경 호르몬은 인간에 의해 세상에 나타나게 되었는데, 그 결과 생물체의 생존에 위협을 가하는 위험한 존재가 되고 말았으며, 인간 역시 그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환경 호르몬은 일단 한 번 만들어지면 자연 분해가 매우 더디기 때문에 처음부터 만들어 내지 않는 방법 외에는 현재로는 뚜렷한 예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세계 각국에서는 환경 호르몬 기능을 하는 물질을 사용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으며, 연구를 통해 그 특성을 밝혀 내고 부작용을 예방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① 환경 호르몬은 한번 만들어지면 자연 분해가 거의 안 된다.
② 환경 호르몬으로 규제되는 물질의 종류는 각 나라마다 다르다.
③ 환경 호르몬은 극히 적은 양으로도 생물체에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④ 환경 호르몬은 생물체에서 정상적으로 생성·분비되는 물질이 아니다.
⑤ 환경 호르몬은 생물체에 흡수되면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한다.
① 암 유발 물질 발견
- 규제 대책 시급
② 호르몬, 생물체에 반드시 필요
- 인공적 생산 불가능
③ 생식 능력 저하, 각종 암의 원인
- 환경 보전만이 치유책
④ 컵라면 용기에서 환경 호르몬 검출
- 생식 능력 저하, 각종 암의 원인
⑤ 산업 활동과 환경 호르몬
- 성비 불균형 초래, 심각한 사회 문제
① 생물은 동물과 식물로 분해할 수 있다.
② 물을 분해하면 수소와 산소로 나누어진다.
③ 비닐이 땅 속에서 분해되려면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④ 컴퓨터를 다시 조립하려면 분해의 역순으로 해야 한다.
⑤ 시계를 고치려고 분해하다가 오히려 못 쓰게 만들어 버렸다.
① 다이옥신이 생태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현상
② 물고기의 체내에서 해로운 물질이 증식되는 현상
③ 수중 플랑크톤이 체내에서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현상
④ 생물체 내에 화학 물질인 다이옥신이 지방에 축적되는 현상
⑤ 먹이사슬의 윗단계로 갈수록 특정 물질의 체내 축적이 심해지는 현상
① 제 눈에 안경
② 제 논에 물 대기
③ 제 버릇 개 못 준다.
④ 제 것 주고 뺨 맞는다.
⑤ 제 도끼에 제 발등 찍힌다.
변씨는 ㉠가만히 그의 뒤를 따라갔다. 허생이 남산 밑으로 가서 조그만 초가로 들어가는 것이 멀리서 보였다. 한 늙은 할미가 우물터에서 빨래하는 것을 보고 변씨가 말을 걸었다.
“저 조그만 초가가 누구의 집이오?”
“허 생원 댁입지요. 가난한 형편에 글공부만 좋아하더니, 하루 아침에 집을 나가서 5년이 지나도록 돌아오지 않으시고, 시방 부인이 혼자 사는데, 집을 나간 날로 제사를 지냅지요.”
변씨는 비로소 그의 성이 허씨라는 것을 알고, 탄식하며 돌아갔다.
(나)
이튿날, 변씨는 받은 돈을 모두 가지고 그 집을 찾아가서 돌려 주려 했으나, 허생은 받지 않고 거절하였다.
“내가 부자가 되고 싶었다면 백만 냥을 버리고 십만 냥을 받겠소? 이제부터는 당신의 도움으로 살아가겠소. 당신은 가끔 나를 와서 보고 양식이나 떨어지지 않고 옷이나 입도록 하여 주오. 일생을 그러면 족하지요. 왜 재물 때문에 정신을 괴롭힐 것이오?”
변씨가 허생을 여러 가지로 권유하였으나, 끝끝내 어찌할 도리가 없었다. 변씨는 그 때부터 허생의 집에 양식이나 옷이 떨어질 때쯤 되면 몸소 찾아가 도와 주었다. 허생은 그것을 흔연히 받아들였으나, 혹 많이 가지고 가면 좋지 않은 기색으로,
“나에게 재앙을 갖다 맡기면 어찌하오?”
하였고, 혹 술병을 들고 찾아가면 아주 반가워하며 서로 술잔을 기울여 취하도록 마셨다.
(다)
이렇게 몇 해를 지나는 동안에도 사람 사이의 정분(情分)이 날로 두터워 갔다. 어느 날, 변씨가 5년 동안에 어떻게 백만 냥이나 되는 돈을 벌었던가를 조용히 물어 보았다.
허생이 대답하기를,
“그야 가장 알기 쉬운 일이지요. 조선이란 나라는 배가 외국에 통하질 않고, 수레가 나라 안에 다니질 못해서, 온갖 물화가 제자리에 나서 제자리에서 사라지지요. 무릇, 천 냥은 적은 돈이라 한 가지 물종(物種)을 독점할 수 없지만, 그것을 열로 쪼개면 백 냥이 열이라, 또한 열 가지 물건을 살 수 있겠지요. 단위가 작으면 굴리기가 쉬운 까닭에, 한 물건에서 실패를 보더라도 다른 아홉 가지의 물건에서 재미를 볼 수 있으니, 이것은 보통 이(利)를 취하는 방법으로 조그만 장사치들이 하는 짓 아니오? 대개 만 냥을 가지면 족히 한 가지 물종을 독점할 수 있기 때문에, 수레면 수레 전부, 배면 배를 전부, 한 고을이면 한 고을을 전부, 마치 총총한 그물로 훑어 내듯 할 수 있지요. 뭍에서 나는 만 가지 중에 한 가지를 슬그머니 독점하고, 물에서 나는 만 가지 중에 슬그머니 하나를 독점하고, 의원의 만 가지 약재 중에 슬그머니 하나를 독점하면, 한 가지 물종이 한 곳에 묶여 있는 동안 모든 장사치들이 고갈될 것이매, 이는 백성을 해치는 길이 될 것입니다. 후세에 당국자들이 만약 나의 이 방법을 쓴다면 반드시 나라를 병들게 만들 것이오.”
(라)
“처음에 내가 선뜻 만 냥을 뀌어 줄 줄 알고 찾아와 청하였습니까?”
허생은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당신만이 내게 꼭 빌려 줄 수 있었던 것은 아니고, 능히 만 냥을 지닌 사람치고는 누구나 다 주었을 것이오. 내 스스로 나의 재주가 족히 백만 냥을 모을 수 있다고 생각했으나, 운명은 하늘에 매인 것이니, 낸들 그것을 어찌 알겠소? 그러므로 능히 나의 말을 들어 주는 사람은 복 있는 사람이라, 반드시 더욱더 큰 부자가 되게 하는 것은 하늘이 시키는 일일 텐데 어찌 주지 않았겠소? 이미 만 냥을 빌린 다음에는 그의 복력에 의지해서 일을 한 까닭으로, 하는 일마다 곧 성공했던 것이고, 만약 내가 사사로이 했었다면 성패는 알 수 없었겠지요.”
(마)
변씨가 이번에는 딴 이야기를 꺼냈다.
“방금 사대부들이 남한산성에서 오랑캐에게 당했던 치욕을 씻어 보고자 하니, 지금이야말로 지혜로운 선비가 팔뚝을 뽐내고 일어설 때가 아니겠소? 선생의 그 재주로 어찌 괴롭게 파묻혀 지내려 하십니까?”
“어허, 자고로 묻혀 지낸 사람이 한둘이었겠소? 우선, 졸수재(拙修齋) 조성기(趙聖期) 같은 분은 적국(敵國)에 사신으로 보낼 만한 인물이었건만 ㉡베잠방이로 늙어 죽었고, 반계 거사(磻溪居士) 유형원(柳馨遠) 같은 분은 군량(軍糧)을 조달할 만한 재능이 있었건만 저 바닷가에서 소요하고 있지 않습니까? 지금의 집정자들은 가히 알 만한 것들이지요. 나는 장사를 잘 하는 사람이라, 내가 번 돈이 족히 구왕(九王)의 머리를 살 만하였으되 바닷속에 던져 버리고 돌아온 것은, 도대체 쓸 곳이 없기 때문이었지요.”
변씨는 한숨만 내쉬고 돌아갔다.
① 허생은 자신의 상술에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
② 변씨는 허생을 내세워 자신의 재산을 더 늘리려 하고 있다.
③ 허생은 인재 등용 제도가 잘못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④ 변씨는 허생에게 만 냥을 빌려준 대가로 더 큰 부자가 되었다.
⑤ 허생이 집을 나가 있는 동안 허생의 아내는 남편이 죽었다고 여기고 있었다.
허생 : 내가 앞에서도 말했듯이 우리 나라는 물화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생산되는 물화의 양도 적습니다. 일반 백성들은 물화의 생산에 힘써야 하고, 상인들은 유통과 판매에 힘써야 하며, 나라에서는 에 힘써야 하겠습니다.
① 세금 제도의 공정한 시행
② 상거래 행위의 엄격한 규제
③ 무역 자유화와 물화 유통망 확충
④ 빈민 구제를 위한 복지 정책 시행
⑤ 상인 계층의 국가관 확립을 위한 교육
① 자신의 내면적 갈등을 해학적으로 말하고 있다.
② 변씨의 의견에 동조해서 아첨의 말을 하고 있다.
③ 자신의 의견을 마치 남의 의견인 양 말하고 있다.
④ 구체적 사례를 들어 당시의 집정자들을 비판하고 있다.
⑤ 변씨의 질문에 대답하기 곤란해서 논점을 바꾸고 있다.
① 미행(尾行)했다
② 수행(隨行)했다
③ 거행(擧行)했다
④ 동행(同行)했다
⑤ 연행(連行)했다
① 인재 양성에 힘을 쏟다가 죽었고
② 가난한 농부로서 생활하다 죽었고
③ 관직에 오르지 못한 채로 살다가 죽었고
④ 시골의 말단 관리로 살다가 쓸쓸하게 죽었고
⑤ 상인으로서 많은 재물을 모아서 평안하게 살다 죽었고
㉠ |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재미있는 점은 모든 사람에게 같은 치료비를 받는 경우보다 차등을 두는 경우 그의 수입이 더 커질 수도 있다는 사실이다. 방식을 바꿔 지금의 중간 정도 수준에서 모든 환자에게 똑같은 치료비를 받는다고 해 보자. 가난한 사람들은 지금까지보다 더 많은 치료비를 내게 될 것이다. 이들은 비싸진 치료비 때문에 웬만한 질병 정도로는 좀처럼 병원 문을 두드리지 않을 것이다. 한편, 부유한 사람은 치료비를 조금 낮춰 준다고 해서 전보다 훨씬 더 자주 찾아오지도 않는다. 종전에 치료비가 너무 부담이 되어 아픈데도 찾아오지 못했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에게 똑같은 치료비를 받기로 하면 환자의 방문이 줄어들 것이고, 따라서 그의 수입도 예전보다 더 적어질 가능성이 크다. |
독점자가 소비자들을 차별하는 요령은,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큰 소비자에게는 낮은 가격을 매기고, 가격 탄력성이 작은 소비자에게는 높은 가격을 매기는 것이다. ⓐ가격 탄력성이 높은 수요자는 가격의 변화에 아주 민감하기 때문에 가격이 조금만 올라가도 수요량을 급격히 감소시키는 반응을 보인다. 따라서, 그에게는 높은 가격을 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 반면에 ⓑ가격 탄력성이 낮은 소비자는 가격이 많이 올라도 수요량을 별로 줄이지 않기 때문에 가격을 어느 정도 올려 받아도 상관이 없다. 이렇게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큰 소비자에게는 낮은 가격을 매기고, 가격 탄력성이 작은 소비자에게는 높은 가격을 매겨 차별할 때 독점자의 이윤은 차별을 하지 않는 경우보다 더 커질 수 있다.
독점자가 이와 같이 소비자를 차별하는 것에는 한 가지의 역설적인 측면이 있다.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낮은 소비자는 이 독점자의 상품에 대한 애착심이 강한 사람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니까 가격을 올려 받아도 수요량을 별로 줄이지 않는 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반면에 가격 탄력성이 높은 소비자는 가격을 조금만 올려도 돌아서는 무정한 사람이다. 언제나 변함없이 자기의 상품만 사는 사람에게는 높은 가격을 받고, 여차하면 다른 상품을 사겠다고 위협하는 사람에게는 낮은 가격을 받는다는 것은 정말 역설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그 시골 의사의 환자들 중에서 치료비의 높고 낮음에 더욱 민감한 사람들은 가난한 사람들이다. 반면에 부유한 사람들은 치료비에 별로 개의치 않고 아프면 의사를 찾아갈 것이다. 따라서, 가난한 사람에게 더 낮은 치료비를 받는 것은 이윤 극대화를 위한 가격 차별의 교과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원래의 동기가 어찌 되었든 간에, 그 의사는 자신의 이익도 잘 챙기면서 마을 사람들의 존경까지 한 몸에 받는 행운을 누리고 있다 하겠다.
* 가격 탄력성 : 상품의 가격이 변화할 때, 판매량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① 문제 상황의 발생 원인을 여러 각도에서 분석하고 있다.
② 개념을 명확히 규정함으로써 논의의 범위를 제한하고 있다.
③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어려운 개념을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④ 여러 가지 문제점을 열거하여 과제의 심각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⑤ 개념의 정의를 소개하고 이러한 정의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있다.
① ×× 은행은 단골 고객에게는 연말에 달력을 선물한다.
② ○○ 회사는 사원의 능력에 따라 연봉의 액수를 다르게 지급한다.
③ △△ 항공 회사는 이용 실적이 많은 고객에게는 할인 혜택을 준다.
④ ○○ 기업은 동일한 제품을 백화점에서보다 재래 시장에서 더 싸게 판매한다.
⑤ △△ 백화점은 일정액 이상을 구매한 고객에게 무료 주차권과 할인 쿠폰을 제공한다.
① 신문 : 활자
② 자동차 : 휘발유
③ 약국 : 제약 회사
④ 법률 : 질서 유지
⑤ 축구 경기 : 감독
① 그 마을에는 약국도 찾아볼 수 없다.
② 그 마을은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다.
③ 그 마을 사람들은 건강에 관심이 많다.
④ 그 의사는 그 마을에서 유일한 의사이다.
⑤ 그 마을에는 부자보다 가난한 사람이 많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